본문 바로가기
건강

계절성 질병 알레르기 비염

by 도르망 2022. 10. 13.

 

 

가을이 되니 아이들의 알레르기 비염이 또 시작된 것 같다. 코가 막혀 킁킁거리고 수시로 재채기를 해 대는 아이들을 옆에서 지켜보는 나도 신경이 예민해지고 있다. 알레르기 비염에 대해 알아보자.

 

 

 

 

 

 

 알레르기 비염 

코 점막이 알러젠(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에 노출되어 면역반응이 일어나고 그로 인해 비염이 발생하는 경우를 알레르기 비염이라고 한다. 히스타민이 과다하게 생성, 분비되는 코, 기관지 점막에서 점액분비, 기관지 평활근 수축, 가려움증 등 반응이 일어난다. 
집먼지 진드기와 꽃가루, 동물의 털이 가장 대표적인 항원이며, 대기오염이 심한 날 알레르기성 비염이 악화되기도 한다. 봄이나 가을철에 발병되는 경우가 많아 계절성 질병이라고도 한다.

 

 

 

 알레르기 비염 증상

 

1. 재채기

주로 발작적이고 연속적인 재채기가 발생한다. 기상했을 때 심하고 오후가 되면서 재채기는 점점 감소한다.

2. 코막힘

하루 종일 코막힘 증세를 보이게 되고, 코가 막혀 제대로 숨을 쉬기 힘들어 힙을 벌려 숨을 쉬게 된다. (아데노이드 얼굴)

3.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에 의해 결막이 충혈되거나 눈물이 많이 나게 된다.

4. 가려움증

비염이 나타나는 코뿐만이 아니라 귀, 눈, 목 등에 가려움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 원인

 

1. 유전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피부염, 천식 등고 같은 알레르기 질환은 유전적 가족력이 있을 수 있다.

2. 알레르기 항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알레르겐이라는 항원에 노출되어 면역반응이 일어나 그로 인해 비염이 발생할 수 있다. 주로 꽃가루, 진드기, 애완동물의 털과 같은 것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로 들어가면서 알레르기 비염이 발생할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 치료법

 

1. 회피 요법

알레르기 비염의 원인이 되는 것을 피하여 예방하는 방법이다. 집안 환경을 깨끗하게 하고, 외출 시 안경 또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2. 약물 요법

항히스타민이나 비강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 치료를 통해 비염 증상을 완화하고 개선할 수 있지만 완치는 힘들다.

3. 면역 요법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알레르기 유발원을 찾아내어 단계적으로 알러젠의 용량을 늘리며 투여해서 항원에 내성이 생기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이전 내 몸에서 알러지를 일으켰던 물질에 계속 노출되어 익숙해지게 되면 나중에는 알러젠이 들어와도 무뎌지도록 하는 치료방법이다. 이론상 완치에 가까운 치료이나 내 몸이 항원으로 인식하는 것을 직접 투여하므로 잠재적 위험성이 있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