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불면증 극복 - 꿀잠자기

by 도르망 2022. 10. 27.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불면증은 누구나 겪을 수 있다. 보통 권장 수면시간이 7 ~ 9시간이라고 알고 있는데, 수면시간을 다 채우지 못하더라도 피곤하면 10분 정도 낮잠만 자도 피로함이 상당 부분 감소된다. 불면증이라고 너무 걱정하지 말고, 심리적인 부담감을 덜어내자.

 

 

 

불면증극복하기-썸네일사진
불면증 극복하기

 

 

 

 불면증

잠들기가 어렵거나 잠에 들어도 자주 깨거나 충분히 잠을 못 자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증상이 한달 이상 지속되는 경우 불면증 또는 수면장애라고 한다.

불면증의 종류에는 급성 불면증과 만성 불면증이 있다.

# 급성 불면증

평소 문제없이 잠을 잘 자던 사람이 갑지기 잠을 자지 못하는 증상

# 만성 불면증

스트레스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해 수면에 불편을 느끼다 노출 기간이 점점 길어지면서 만성으로 굳어지기 때문에 우리 인체와 뇌에서 잠을 못 자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 만성질환으로 발전된 형태

 

 

 

 불면증 극복하기

 

1. 규칙적인 수면시간

매일 잠드는 시간과 기상 시간을 일정하도록 유지한다. 

2. 편안한 잠자리 환경

편안하게 잘 수 있도록 온도, 조명, 소음을 조절한다.

3. 알맞은 침대

매트리스가 너무 푹신하거나 단단하지 않는지 확인해본다.

4. 적절한 운동

수면시간과 가까운 시간에 과격한 운동은 피하고, 꾸준히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통하여 하루 종일 쌓인 긴장을 풀 수 있도록 한다.

5. 카페인 줄이기

카페인은 잠에 드는 것을 방해하고, 깊이 잠드는 것을 막으므로 카페인 섭취를 줄인다.

6. 금연

니코틴은 각성제로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고, 더 자주 잠에서 깨어나는 등 수면 장애를 겪을 확률이 더 높다.

7. 샤워

잠자리에 들기 전 따뜻한 물로 가볍게 샤워한다.

8. 잠들 수 없다면 깨어나 있기

아무리 노력해도 잠이 오지 않는다면 잠시 잠자리에서 벗어나 가볍게 다른 것에 집중해보도록 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경부암 증상  (0) 2022.11.03
감기에 좋은 차 12가지  (1) 2022.10.28
가래 제거 방법  (0) 2022.10.26
어지러움증 - 이석증  (0) 2022.10.25
법정감염병 - 격리실(격빌병실) 1인실 지원  (0) 2022.10.24

댓글